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고지혈증의 원인과 관리 방법

by allroundinfo 2024. 7. 15.
반응형

주로 50~60대에서 발명하였던 고지혈증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하여 젊은 층에서도 증가 추세에 있는 질환입니다.

 

혈액 내에 쌓인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진 상태를 말하는 고지혈증에 대하여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콜레스테롤과 지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건강검진을 할 때 콜레스테롤 수치가 기본 점검 항목에 포함되어 있고 동맥경화의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먹으면 무조건 몸에 나쁘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성분이며, 필요 이상 축적이 된 경우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함께 언급되는 것이 혈액 내 지방입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일까요?

 

혈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지방질은 콜레스테롤 즉,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LDL),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중성지방으로 분류됩니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구별하는 방법은 콜레스테롤에 포함된 함량을 파악하면 알 수 있는데 LDL은 콜레스테롤의 양이 많고 지단백질의 양이 적어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며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주범이기도 합니다.

 

반면, 콜레스테롤의 양이 적고 지단백질의 양이 많은 HDL은 혈액 중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없애주기 때문에 심장질환과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어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립니다.

 

중성지방은 우리 몸에 반드시 필요한 성분이지만 적정한 수치를 벗어날 경우 혈관벽을 좁게 만들어 동맥경화를 유발합니다.

 

<고지혈증의 원인>

앞서 살펴본 바로 고지혈증은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이 적은 반면,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과 중성지방이 과다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런 상태를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는 고지방과 가공식품 위주의 서구화된 식단, 그리고 운동 부족을 꼽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유전적 요인과 연령증가도 한몫을 하게 되며, 특정 약물을 사용할 경우 고지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성별과 나이로 살펴보면 30~40대에는 남성의 발병 확률이 높고, 50대 이후로는 폐경의 영향으로 여성에게서 높게 나타납니다.

 

<고지혈증의 치료방법>

고지혈증은 혈관에 쌓인 콜레스테롤로 인한 2차 증상이기 때문에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오직 혈액검사로만 알 수 있기 때문에 평소 건강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고지혈증을 방치할 경우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면서 혈관에 플라크라는 것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염증반응을 일으키면서 점점 커지며 동맥 혈류를 방해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심장 혈관에 문제가 생기게 되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말초 혈관질환 등이 발병할 수 있는 것입니다.

 

고지혈증이 비교적 심하지 않은 상태라면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서 조절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약제 복용이 필수적인데 약은 현재의 상황을 관리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요인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지혈증의 관리>

고지혈증이 유전적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 아니라면 건강한 식습관 형성과 적절한 운동을 통한 적정 체중 유지만으로도 질환의 예방과 관리가 가능합니다.

 

동물성 식품 중 지방이 많은 부위와 소고기, 돼지고기 등 고지방 육류, 햄 소시지와 같은 고지방 육가공품, 가금류 껍질, 오징어류, 내장류, 버터와 동물성 기름으로 만든 음식, 곡류 혹은 감자류, 초콜릿과 가공 주스와 같이 당이 높은 음식의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금연과 하루 두 잔 이하의 절주가 필요한데 자신이 조절할 수 없다면 금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대신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류, 해조류, 버섯류를 충분히 섭취하고 적정한 수준의 생선, 식물성 기름 등의 섭취도 도움이 됩니다.

 

필요하다면 오메가3, 수용성 섬유소가 함유된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또한, 일주일 중 주 3회 이상 30분 이상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반응형